예고입시반

예고입학의 꿈! 이제 본스타 트레이닝센터가 책입집니다!
나도 할 수 있다! 는 자신감만 가지고 오십시오.
본스타 트레이닝센터는 언제나 열려있습니다.

작품분석 및 독회

Jin님 | 2018.04.08 13:54 | 조회 432

작품분석 및 독회(Reading)

작품분석의 목적

하나의 희곡을 선택하고 그 작품을 공연하기 위해서는, 연극 구성원들이 그 희곡을 분석하여 분석된 방향대로 연습을 진행한다. 희곡을 읽고 분석하는 단계는 연극적 언어를 찾아 주며, 작품의 흐름을 정확히 잡아 주어서, 연습 단계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데, 자칫 이 점을 간과하여 대충 겉핥기 식으로 한다면 작품은 어디로 가야 할지 방향을 잃고 표류할 것이다. 희곡을 읽고 분석하는 일련의 작업을 독회(讀會)라 하는데, 배우가 무대 위에서 동작을 시작하기 전까지 즉, 대사에 대한 분석이 끝나고 감정이 이입되어진 상태까지 연극 구성원들 간에 작품을 읽고 토론을 하며 분석하는 단계이다.

독회 (Reading) 의 단계

독회의 단계는 언어, 소리, 대사로 발전되어 진다.

독회의 1단계는 언어 이해이다. 언어란 희곡을 문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뜻한다. 희곡을 이루는 언어들의 뜻과 사건의 구성, 줄거리, 주제 등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품 분석을 통해 언어를 이해하고 발견하게 된다.

2단계는 소리의 발견이다. 언어 자체로 머물러 있을 수가 없다. 이제 희곡은 언어가 아닌 소리가 되어야 하며, 그 소리는 타인에게 전달되어야 하고 자신도 타인의 소리를 들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소리일 뿐이다. 이 소리에 색깔이나 높이가 깔려 있지만 아직은 소리일 뿐이다. 소리의 발견에서 해야 할 작 업은 인물의 분석 및 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일이다.

마지막 3단계는 대사의 발견이다. 소리를 발견하고 이해한 후, 그 소리에 옷을 입히는 작업이다. 즉 감정을 이입하여 단순히 소리가 아닌, 생명이 가득찬 대사로 만드는 일이다. 대사의 완성은 위의 두 단계를 거쳐야 하며, 감정 및 액센트, 포즈, 템포, 리듬, 호흡 등의 어려운 작업을 통해 만들어진다.

위의 세 단계는 마치 연주자와 같다. 연주자는 일단 악보를 보고 악보의 여러 음표들을 파악한다. 악보를 파악한 후 연주에 들어간다. 그러나 아직은 서툴기에 기계적인 음표 따라하기에 지나지 않는다. 어느 정도 파악을 끝낸 연주자는 자신의 감정을 실어 연주하기 시작한다. 그 연주는 그 누구와도 다른 자신만의 감정을 실어서 하는 연주이다. 배우도 이와 마찬가지로 독회의 단계를 거쳐 대사를 완성하게 된다.

잠깐 !!! 작품 분석 요령에 관해 알아보자.

① 작가 연구

② 원본 대조 (번역판도 대조)

③ 주제 파악 및 구성 파악

④ 극적 행동 부분 파악

⑤ 단락 나누기 (단락별로 제목 붙이기)

⑥ 인물들 간의 관계

⑦ 인물 분석

작품에 대한 이해가 끝나 갈 무렵에는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배우에게 작품의 리듬이나 질감, 색, 선 등을 몸으로 표현하게 하는 것이 좋으리라 생각된다. 이것으로 연출은 배우가 작품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 지를 파악할 수 있다.

독회시 주의사항

그럼 독회 할 때 대본 읽기에 있어서의 주의사항에 대하여 알아보자.

첫째, 처음 독회시에는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읽어야 하며 언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국어 교과서를 읽듯이 해서는 안 된다. 편안하고 자연스러우며 발음은 정확히, 그리고 의문문 지키기 등이다.

둘째, 조사(은 는 이 가)는 정확히 소리를 내어 주어야 한다. 보통 주어나 명사는 크게 들리지만, 조사가 들리지 않아 전체의 의미를 제대로 전달해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셋째, 타인이 대사를 칠 경우 그 대사를 듣는 연습을 해야만 한다. 자신의 대사를 전달할 생각뿐만 아니라 남의 대사도 들을 줄 알아야 하므로, 이 때부터 연습이 필요한 것이다.

넷째, 포즈의 길이가 너무 일정하면 지루하다. 보통 독회시에는 이 포즈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은데 독회부터 포즈를 지키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다섯째, 독회시 앉아서 하는 대사는 앉아서, 일어서서 하는 대사는 일어서서 함으로써 조금이나마 행동과 같이 할 수 있으며, 더욱 세밀한 감정을 이입할 수가 있을 것이다.

여섯째, 한 문장에서 끊어 읽어야 되는 부분은 대본에 꼭 표시를 해 두어야 한 다. 한 호흡을 끊을 것인지, 반 호흡을 끊을 것인지 정확하게 표기해야 한다

일곱째, 문장 상의 중요한 말은 강조를 해야 한다. 대사를 서투르게 친다는 것은 중요한 대사를 놓쳐 버리는 것이다.

여덟째, 가능한 한 치밀한 감정 분석으로, 대본에 그 감정을 적어 놓아야 한다. 하나의 문장에서도 감정이 다를 수 있으니 자세하게 기록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어미가 떨어지는 것이다. 대사의 어미가 떨어지면 대사가 단절이 되고 힘이 없어지며, 관객은 교감을 얻지 못하여 지루하게 된다. 이것은 호흡과 관련이 있고 더 정확하게는 에너지의 문제이다. 물론 실생활에서의 습관에 기인한 것도 있으나, 그보다도 에너지의 비중이 더 크다. 어미가 떨어짐은 배우의 에너지가 떨어짐을 뜻하고 관객들의 에너지도 떨어지게 마련이다.

역창조의 과정

역을 창조한다는 것은 관객에게 보이기 위한 데 있으며 이것이 배우의 사명이다. 그러므로 배우는 흥미있는 인물과 좋은 줄거리로 인간 생활과 세상에 대한 비평을, 공연으로써 자기의 심리와 육체를 통해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나 양식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역창조의 과정이란 곧 「공연으로써 자기의 심리와 육체를 통해 주어진 역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나 양식의 실행 과정」을 의미한다. 배우의 역창조 과정을 다음의 7 개의 과정으로 나누어 살펴 보자.

1. 훑어 보기

1) 작가와 작품에 대한 인식

작가의 출생 연대, 출생지 및 성장지, 극작가가 된 동기. 집필 작품과 작품 부류, 작가의 다른 작품과의 비교. 극작 당시의 사회 배경과 시대, 정서, 창작 동기 및 작가와의 관련성. 오늘의 눈으로 평가되는, 작품의 예술적․문화적 가치.

2) 자기 나름의 작품 분석

무엇에 대한 이야기인가.

주제, 줄거리, 곁들인 얘기(복선), 사건을 이어가는 모든 사정. 작품 스타일.

2. 해부하기

1) 연출의 의도, 방침의 이해.

2) 훑어 보기 과정에서 본 것과 연출 의도와의 상이점 발견.

3) 주어진 인물의 핵심 파악

주제와 인물과의 관계.

각 장면이나 맥락에서의 인물 관계.

다른 인물들과의 관계.

4) 주어진 인물의 환경 파악

시대적 특징, 거주지, 주변의 생활 풍습, 계절과 날씨.

3. 접근하기

1) 인물된 동기의 파악

직업, 연령, 사회적 지위, 개인 생활, 사상, 심리적․생리적 특징. 선천적․후천적 성격, 인물의 과거와 미래.

2) 주어진 인물과 자기 자신과의 예술적 형상화

자기와 인물간의 동일성과 차이점.

차이점의 극복은 어떻게 해 나갈 것인가(순서 및 방법).

대사의 이해에 힘쓰며 낭독 또는 암송한다.

다른 배역과의 다른 점을 검사한다.

4. 책 읽기(대사 익히기)

>>>> 독회에 관해서는 앞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5. 동작 맞추기

1) 극장, 무대와 무대 구획, 구도에 대한 인식.

2) 장치, 조명, 효과 등에 대한 이미지 파악.

3) 각 장면의 이미지 파악.

4) 대, 소도구 배치의 인식.

5) 제스쳐와 표정술에 대한 연구 및 창조.

6)분장, 의상 및 소품의 연구.

7) 상대역과의 상호 교감 및 연출가와의 해석 차이 조정.

6. 동작 익히기

1) 대사의 함축 및 미숙한 부분의 교정.

2) 제스쳐와 표정의 확립.

3) 인물과 완전 일치되고 무대 전체를 통해 구상화된 자기 자신의 정리.

4) 상대역과의 호흡 및 극적 상황에 대해 생활화된 무대 표현의 연기 연마.

5) 분위기의 완성.

6) 자'타의 비판을 통한 자기 연기 표현의 달성.

7. 막바지(무대 총연습)

1) 무대의 모든 구성 요소와 자기와의 관련성 연구.

2) 의상 및 분장에 대한 순서와 방법의 연구.

3) 극장과 무대에 대한 재인식.

4) 자기 연기와 타요소와의 일체화, 조화 통일을 이룩.

5) 공연 초일과 같은 자신 있는 연기의 표현.

작품분석 및 독회(Reading)

작품분석의 목적

하나의 희곡을 선택하고 그 작품을 공연하기 위해서는, 연극 구성원들이 그 희곡을 분석하여 분석된 방향대로 연습을 진행한다. 희곡을 읽고 분석하는 단계는 연극적 언어를 찾아 주며, 작품의 흐름을 정확히 잡아 주어서, 연습 단계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데, 자칫 이 점을 간과하여 대충 겉핥기 식으로 한다면 작품은 어디로 가야 할지 방향을 잃고 표류할 것이다. 희곡을 읽고 분석하는 일련의 작업을 독회(讀會)라 하는데, 배우가 무대 위에서 동작을 시작하기 전까지 즉, 대사에 대한 분석이 끝나고 감정이 이입되어진 상태까지 연극 구성원들 간에 작품을 읽고 토론을 하며 분석하는 단계이다.

독회 (Reading) 의 단계

독회의 단계는 언어, 소리, 대사로 발전되어 진다.

독회의 1단계는 언어 이해이다. 언어란 희곡을 문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뜻한다. 희곡을 이루는 언어들의 뜻과 사건의 구성, 줄거리, 주제 등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품 분석을 통해 언어를 이해하고 발견하게 된다.

2단계는 소리의 발견이다. 언어 자체로 머물러 있을 수가 없다. 이제 희곡은 언어가 아닌 소리가 되어야 하며, 그 소리는 타인에게 전달되어야 하고 자신도 타인의 소리를 들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소리일 뿐이다. 이 소리에 색깔이나 높이가 깔려 있지만 아직은 소리일 뿐이다. 소리의 발견에서 해야 할 작 업은 인물의 분석 및 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일이다.

마지막 3단계는 대사의 발견이다. 소리를 발견하고 이해한 후, 그 소리에 옷을 입히는 작업이다. 즉 감정을 이입하여 단순히 소리가 아닌, 생명이 가득찬 대사로 만드는 일이다. 대사의 완성은 위의 두 단계를 거쳐야 하며, 감정 및 액센트, 포즈, 템포, 리듬, 호흡 등의 어려운 작업을 통해 만들어진다.

위의 세 단계는 마치 연주자와 같다. 연주자는 일단 악보를 보고 악보의 여러 음표들을 파악한다. 악보를 파악한 후 연주에 들어간다. 그러나 아직은 서툴기에 기계적인 음표 따라하기에 지나지 않는다. 어느 정도 파악을 끝낸 연주자는 자신의 감정을 실어 연주하기 시작한다. 그 연주는 그 누구와도 다른 자신만의 감정을 실어서 하는 연주이다. 배우도 이와 마찬가지로 독회의 단계를 거쳐 대사를 완성하게 된다.

잠깐 !!! 작품 분석 요령에 관해 알아보자.

① 작가 연구

② 원본 대조 (번역판도 대조)

③ 주제 파악 및 구성 파악

④ 극적 행동 부분 파악

⑤ 단락 나누기 (단락별로 제목 붙이기)

⑥ 인물들 간의 관계

⑦ 인물 분석

작품에 대한 이해가 끝나 갈 무렵에는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배우에게 작품의 리듬이나 질감, 색, 선 등을 몸으로 표현하게 하는 것이 좋으리라 생각된다. 이것으로 연출은 배우가 작품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 지를 파악할 수 있다.

독회시 주의사항

그럼 독회 할 때 대본 읽기에 있어서의 주의사항에 대하여 알아보자.

첫째, 처음 독회시에는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읽어야 하며 언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국어 교과서를 읽듯이 해서는 안 된다. 편안하고 자연스러우며 발음은 정확히, 그리고 의문문 지키기 등이다.

둘째, 조사(은 는 이 가)는 정확히 소리를 내어 주어야 한다. 보통 주어나 명사는 크게 들리지만, 조사가 들리지 않아 전체의 의미를 제대로 전달해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셋째, 타인이 대사를 칠 경우 그 대사를 듣는 연습을 해야만 한다. 자신의 대사를 전달할 생각뿐만 아니라 남의 대사도 들을 줄 알아야 하므로, 이 때부터 연습이 필요한 것이다.

넷째, 포즈의 길이가 너무 일정하면 지루하다. 보통 독회시에는 이 포즈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은데 독회부터 포즈를 지키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다섯째, 독회시 앉아서 하는 대사는 앉아서, 일어서서 하는 대사는 일어서서 함으로써 조금이나마 행동과 같이 할 수 있으며, 더욱 세밀한 감정을 이입할 수가 있을 것이다.

여섯째, 한 문장에서 끊어 읽어야 되는 부분은 대본에 꼭 표시를 해 두어야 한 다. 한 호흡을 끊을 것인지, 반 호흡을 끊을 것인지 정확하게 표기해야 한다

일곱째, 문장 상의 중요한 말은 강조를 해야 한다. 대사를 서투르게 친다는 것은 중요한 대사를 놓쳐 버리는 것이다.

여덟째, 가능한 한 치밀한 감정 분석으로, 대본에 그 감정을 적어 놓아야 한다. 하나의 문장에서도 감정이 다를 수 있으니 자세하게 기록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어미가 떨어지는 것이다. 대사의 어미가 떨어지면 대사가 단절이 되고 힘이 없어지며, 관객은 교감을 얻지 못하여 지루하게 된다. 이것은 호흡과 관련이 있고 더 정확하게는 에너지의 문제이다. 물론 실생활에서의 습관에 기인한 것도 있으나, 그보다도 에너지의 비중이 더 크다. 어미가 떨어짐은 배우의 에너지가 떨어짐을 뜻하고 관객들의 에너지도 떨어지게 마련이다.

역창조의 과정

역을 창조한다는 것은 관객에게 보이기 위한 데 있으며 이것이 배우의 사명이다. 그러므로 배우는 흥미있는 인물과 좋은 줄거리로 인간 생활과 세상에 대한 비평을, 공연으로써 자기의 심리와 육체를 통해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나 양식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역창조의 과정이란 곧 「공연으로써 자기의 심리와 육체를 통해 주어진 역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나 양식의 실행 과정」을 의미한다. 배우의 역창조 과정을 다음의 7 개의 과정으로 나누어 살펴 보자.

1. 훑어 보기

1) 작가와 작품에 대한 인식

작가의 출생 연대, 출생지 및 성장지, 극작가가 된 동기. 집필 작품과 작품 부류, 작가의 다른 작품과의 비교. 극작 당시의 사회 배경과 시대, 정서, 창작 동기 및 작가와의 관련성. 오늘의 눈으로 평가되는, 작품의 예술적․문화적 가치.

2) 자기 나름의 작품 분석

무엇에 대한 이야기인가.

주제, 줄거리, 곁들인 얘기(복선), 사건을 이어가는 모든 사정. 작품 스타일.

2. 해부하기

1) 연출의 의도, 방침의 이해.

2) 훑어 보기 과정에서 본 것과 연출 의도와의 상이점 발견.

3) 주어진 인물의 핵심 파악

주제와 인물과의 관계.

각 장면이나 맥락에서의 인물 관계.

다른 인물들과의 관계.

4) 주어진 인물의 환경 파악

시대적 특징, 거주지, 주변의 생활 풍습, 계절과 날씨.

3. 접근하기

1) 인물된 동기의 파악

직업, 연령, 사회적 지위, 개인 생활, 사상, 심리적․생리적 특징. 선천적․후천적 성격, 인물의 과거와 미래.

2) 주어진 인물과 자기 자신과의 예술적 형상화

자기와 인물간의 동일성과 차이점.

차이점의 극복은 어떻게 해 나갈 것인가(순서 및 방법).

대사의 이해에 힘쓰며 낭독 또는 암송한다.

다른 배역과의 다른 점을 검사한다.

4. 책 읽기(대사 익히기)

>>>> 독회에 관해서는 앞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5. 동작 맞추기

1) 극장, 무대와 무대 구획, 구도에 대한 인식.

2) 장치, 조명, 효과 등에 대한 이미지 파악.

3) 각 장면의 이미지 파악.

4) 대, 소도구 배치의 인식.

5) 제스쳐와 표정술에 대한 연구 및 창조.

6)분장, 의상 및 소품의 연구.

7) 상대역과의 상호 교감 및 연출가와의 해석 차이 조정.

6. 동작 익히기

1) 대사의 함축 및 미숙한 부분의 교정.

2) 제스쳐와 표정의 확립.

3) 인물과 완전 일치되고 무대 전체를 통해 구상화된 자기 자신의 정리.

4) 상대역과의 호흡 및 극적 상황에 대해 생활화된 무대 표현의 연기 연마.

5) 분위기의 완성.

6) 자'타의 비판을 통한 자기 연기 표현의 달성.

7. 막바지(무대 총연습)

1) 무대의 모든 구성 요소와 자기와의 관련성 연구.

2) 의상 및 분장에 대한 순서와 방법의 연구.

3) 극장과 무대에 대한 재인식.

4) 자기 연기와 타요소와의 일체화, 조화 통일을 이룩.

5) 공연 초일과 같은 자신 있는 연기의 표현.


twitter facebook google+